
슈퍼스칼라란? 여러 파이프라인을 이용해 복수의 (스칼라 데이터) 명령어의 병렬적으로 실행하여 처리 속도를 고속화 하는 기술 - 명령어를 한번에 읽는다(비 순차적 파이프라인) *벡터 데이터: 배열 데이터 *스칼라 데이터: 단일변수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단일 프로세서 내에서 다수의 스칼라 명령어의 병렬처리를 지원하는 프로세서 이다. 각 실행 단위는 별도의 프로세서(멀티코어/멀티프로세서)가 아니라 ALU와 같은 단일 CPU 내의 실행 리소스이다. * 스칼라 프로레서: 한 사이클에 하나의 스칼라 명령어 처리(병렬X). * 벡터 프로세서: 다수의 벡터 명령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의 등급 N 등급 슈퍼스칼라는 N개의 명령어를 병렬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F: Instruction ..

RISC / CISC란? CPU를 명령어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한 설계방법 혹은 전략이다.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ARM CPU에 사용되고 있다 간단한 명령어를 조합해서 실행 명령어의 수행 시간이 고정되어있다. -> 전체 멍령어의 실행 시간 예측 가능 명령어의 포멧/길이의 규칙이 있다.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인텔 CPU에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명령어로 가능한 많은 작업을 실행(복합 명령어) 복합 명령어 수행을 위해 CPU 회로의 복합도가 증가하며,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또한 증가한다. 명령어의 수행 시간이 가변적이다. -> 전체 명령어 실행 시간 예측이 어렵다. 명령어의 포멧/길이에 ..

CPU의 실행 구조 CS - CPU 의 구조 CPU(Central Processing Unit): CPU란 대게 컴퓨터의 두뇌라고 비유되며, 컴퓨터의 통제 및 명령어 처리, 데이터의 연산 등을 담당하는 컴퓨터의 제일 핵심적인 파트이다. CPU는 세가지의 핵심적인 유닛으 compilemonster.tistory.com CPU의 기본 실행 구조는 4개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 각각의 실행 구조들을 이용해 세부 작업들을 나누어 동시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이 파이프 라인이다. 실행 구조들을 더 작게 나누어 처리할 수도 있다. 현재 16단계까지도 나누어 실행한다. 일반적으로(전통적으로) 파이프라인의 설명할때 cpu의 4단계/5단계 실행구조를 이용해 설명한다. 파이프라인(Pipeline) CPU의 성능을 높이기 위..

GPU란 Graphics process unit으로 그래픽 연산들을 병렬로 처리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와 비디오를 더 빠르게 랜더링 하기 위해 만들어진 연산장치이다. 그래픽처리를 위해 발생된 장치이지만 병렬처리로 인해 빠른 속도로 작업이 가능하기때문에 현재에는 머신러닝과 과학적 계산등과 같은 일에도 많이 사용된다 (가상화폐 채굴로 인해 그래픽카드가 많이 사용된 이유) CPU 와 GPU 의 차이 CPU GPU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더 적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느리다 빠르다 더 강력한 코어를 여러개 갖고 있다 더 약한 코어를 여러개 갖고있다 직렬처리에 더 특화되어있다 병렬처리에 특화되어있다 CPU는 좀 더 넓은 범위의 다양한 작업들을 처리 할 수 있지만 병렬적인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 GPU는 단순계산과 ..

CPU(Central Processing Unit): CPU란 대게 컴퓨터의 두뇌라고 비유되며, 컴퓨터의 통제 및 명령어 처리, 데이터의 연산 등을 담당하는 컴퓨터의 제일 핵심적인 파트이다. CPU는 세가지의 핵심적인 유닛으로 구성되어있다. 컨트롤 유닛: 모든 명령어를 컨트롤 하며, 명령어 처리를 위한 흐름을 담당한다 ALU(Arithmetic Logic Unit):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담당한다. 메모리 유닛(레지스터): 실행할 명령어와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실행 후 결과값을 저장한다. 해당 유닛들은 내부의 버스(Bus)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통신한다. 출처: Scaler Topics CPU의 실행 구조 Fetch: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cpu로 읽어옴 Decode: 명령어를 해독하고 명령어 수행에..

기억장치(메모리): 말 그대로 CPU 가 동작할때 필요한 데이터/상태/명령어를 기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CPU의 메모리 접근 시간에 따른 계층: CPU에서 각각의 메모리에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른 계층이다. CPU 내부의 레지스터에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르고, 그다음이 SRAM(캐쉬) -> DRAM -> 보조기억장치 순서이다. 주기억장치(Computer Memory): ROM(Read Only Memory) : 컴퓨터를 실행시킬때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같이 중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내용을 읽기만 가능하며, 수정은 불가능하다. 파워공급이 끊겨도 저장된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는다 PROM(Programmable ROM), EPROM(Er..

컴퓨터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직접 만질 수 있는 실제 컴퓨터를 작동하는 기기들의 의미하며, 하드웨어의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면 기억장치(메모리), 제어장치, 입출력장치가 있습니다. 메모리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주기억장치 레지스터, 캐쉬메모리, 램, 롬, 등 보조기억장치 HDD, SSD 입출력장치 (IO devices)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한 입력/출력을 담당하는 장치들 입력 키보드, 마우스 등 출력 모니터, 스피커 등 제어장치 CPU: 컴퓨터에서 가장 핵심적인 장치이며 컴퓨터의 두뇌라고 종종 비유됩니다. 컴퓨터를 통제하며 프로그램의 연산/실행/처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제어장치입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버스를 통해 데..

운영체제 OS(Operating System) 위키피디아 이미지 운영체제란. 시스템 리소스(System Resource: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며 응용프로그램을 운영 제어해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e.g. mac os, iOS, windows, linux, etc 응용프로그램이란.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다. e.g. 엑셀, 파워포인트, 웹브라우저, 메모장, 게임 프로그램 등등 운영체제의 역할 한정된 시스템 리소스를 알맞게 응용프로그램에 분배하고, 응용프로그램의 하드웨어 접근 권한을 관리하며,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한다. 커널(Kernel) 과 쉘(Shell) 커널은 운영체제에서 가장 핵심이고 중요한 구성요소이다..